KFOOD LOGO

인니 소식

인도네시아 건설 기계 부품 시장 동향

25 2025.09.03 10:32

본문

정부 주도 인프라 개발 및 인도네시아 주요 산업인 광산업 바탕으로 꾸준한 건설 기계 부품 수요 전망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843149는 크레인, 작업용 트럭, 기타 건설ᆞ광산 기계 부품을 의미한다. 인도네시아에선 이 범주가 굴착기, 불도저, 크레인 등 중장비에 사용되는 유압 브레이커, 크러셔, 해머 등을 포함하며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에 주로 활용된다.


시장동향 및 규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건설 기계 부품이 사용되는 인도네시아의 건설 및 광산 기계 시장은 2023년에서 2028년까지 연평균 6.4%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네시아 시장은 생산가치 기준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여섯 번째로 큰 시장이며, 규모로는 네 번째로 큰 시장이다. 2023년 기준 전체 시장 규모의 78.2%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외국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도네시아 건설 및 광산 기계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3036456085_1756869270.2602.png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인도네시아의 건설 및 광산 기계 시장은 2021년 대비 2022년 약 44% 증가했으며 이후 꾸준한 시장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국가전략프로젝트(PSN) 시행에 따라 도로, 철도, 항구, 파이프라인 등 많은 인프라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건설 및 기계 장비의 수요 또한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네시아 중장비산업협회(HINABI)에 따르면, 현지 시공 업체들은 건설 기계의 높은 수입 의존도에 따라 비용 절감을 위해 더 저렴한 브랜드를 선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있는 중국 제품의 수요가 높으며 이는 인도네시아 시장에 납품하는 글로벌 기업들에 큰 도전 과제로 작용한다.


수입동향 및 국가별 수입규모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자료에 따르면, HS Code 843149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입액은 2021년, 2022년 모두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2022년 약 9억7851만 달러로서 가장 큰 수입액을 기록했다.


하지만 2023년, 2024년 수입액은 감소세를 보였는데 석탄, 니켈과 같은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광업 부문의 수요 둔화, 현지 화폐인 루피아 가치 하락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의 전 세계 건설 기계 부품 수입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중국이며, 2024년 기준으로 전체 수입량의 약 39.2%를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는 일본에서 28.5%를 수입하고 있으며, 뒤이어 한국(5.9%), 미국(4.9%), 이탈리아(4.4%), 독일(3.8%) 순으로 수입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대 공급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미국의 2024년 수입 규모는 3833만 달러로서 전년 대비 42.5% 급감했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미국 제품의 단가와 상승한 물류비 및 아시아 제품의 신속한 애프터 서비스로 인해 미국산 제품의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경우 Hitachi, Komatsu 등 글로벌 건설기계 브랜드의 고품질 부품을 바탕으로 공급국 2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중국 제품 대비 높은 품질과 일본 제품 대비 합리적인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공급국 3위를 유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건설 기계 부품(HS Code 843149) 수입현황>

(단위: US$ 천, %)

3036456085_1756870086.1479.png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2021~2024년 건설 기계 부품 (HS Code 843149) 수입규모>

(단위: US$ 천, %)
3036456085_1756870128.846.png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경쟁동향


<건설 기계 부품(HS Code 843149) 유통사 및 경쟁사 리스트>

3036456085_1756870199.2496.png

[자료: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유통구조


HS Code 843149에 해당하는 건설 기계 부품은 산업용 원자재로서 무역부의 규정(No.22/M-DAG/PER/3/2016)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이 규정의 핵심 원칙은 외국기업이 인도네시아 내에서 제품을 수입하고 유통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현지에 등록된 법인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외국기업은 현지에 직접 판매할 수 없으며 현지 에이전트 및 유통업체와 같은 수입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업체를 통해 판매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수입자는 2024년 산업부 규정 제1호 에 따라 기술적 고려사항(Pertimbangan Teknis, 이하 Pertek)을 우선적으로 발급받아야 한다.


Pertek이 발급된 이후 수입자는 2025년 무역부 규정 제22호(시행 예정일: 2025년 8월 29일)에 따라 사전 수입 승인(PI, Persetujan Impor)을 반드시 받아야 하며 NIB(Nomor Induk Berusaha, 사업자등록번호) 및 수입 라이센스 역할을 하는 API(Angka Pengenal Impor, 수입업체 식별번호)를 보유해야만 현지 유통이 가능하다.


건설 기계 부품은 제품 특성상 현지 유통 업체가 수입 절차를 담당하며, 동시에 판매 이후의 유지보수 및 에프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건설 기계 부품 (HS Code 843149) 유통구조>

3036456085_1756870252.3642.png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843149에 해당하는 건설 기계 부품은 크레인이나 지게차와 같은 주 기계가 아닌 부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국가 표준(SNI, Standar National Indonesia) 의무 인증 대상이 아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제품은 현지 정부 프로젝트나 광산업에 사용됨에 따라 안전 인증서, 제조사 발행 공장 시험 성적서와 같은 기술 문서를 구매처에서 요청할 수 있다.


<관세율>

3036456085_1756870296.1535.png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시사점


인도네시아의 건설 기계 부품 시장은 현지 생산이 매우 제한적이며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최근 광업 부문의 수요 둔화, 현지 화폐 가치 하락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수입규모가 줄어들었으나 정부 주도의 인프라 개발과 인도네시아의 주요 수출 품목인 석탄, 니켈 등 광물 채굴 과정에서 필수적인 장비다 보니 건설 기계 부품 시장은 지속적인 수요를 바탕으로 꾸준한 성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중국의 저가 브랜드와 공신력 있는 세계적인 글로벌 브랜드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하나, 현지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인 부품 공급망과 신속한 유지 보수 체계를 확보한다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진출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인도네시아 재무부, 유로모니터,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Total 906건 1 페이지
제목
KFOOD 아이디로 검색 4시간 60분전 25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3 33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3 63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3 38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3 25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3 44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3 54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3 40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2 41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2 36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2 36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2 25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2 53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2 76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2 39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37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59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35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34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55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51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51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52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44
KFOOD 아이디로 검색 2025.09.01 37